남해일주
대상 : 남해[ 南海 ]
위치 : 경상남도 남해군
일시 : 2015년 5월 9-10일(1박 2일)
일기 : 대체로 쾌청 고온(25도) 그러나 아침에 안개끼고 쬠흐린 날씨
코스 : 남해대교, 남해군청, 이차세계대전미공군전공기념관, 망운산, 중리, 가천다랭이마을, 미국마을, 원천,
금산과 보리암, 창선교 및 죽방렴, 삼천포대교(시간이 모자라서 독일마을은 들리지 못하고 서울로)
동행 : 김종기 선배, 친구 한점님, 대희 후배 그리고 나 넷이서
소개 : 남해섬은 남쪽 바다에 자리 잡아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이다.
행정구역상으로 창선도를 포함하여 1읍 7면으로 편제되고, 경남에서 거제도 다음으로 크다. 해안선 길이는 205㎞에 달하며 망운(望雲)산이 최고봉이다. 정이오(鄭以吾)는 기문에서 ‘남해현은 바다 한복판에 있는 섬으로서 진도, 거제와 함께 솔밭처럼 우뚝하다. 토지가 비옥하고 물산이 번성하여 국가에 도움되는 일이 적지 아니하나 왜국과 가까워 침입이 잦았다’고 썼다. 이것은 바로 바다의 한복판에 자리잡은 위치이고, 그런 데서 붙여진 이름임을 시사 하는 글귀이다.
남해라는 땅 이름은 통일신라 때부터 출현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사용하고 있다. 중심지도 같은 이름의 남해로서 1979년에 읍 승격되고, 육지로 이어진 다리 역시 남해의 이름을 따고 있다. 결국 남해는 바다로 둘러싼 환해(環海)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곳으로 성격을 안는다. 권맹손(權孟孫)은 시에서 ‘자라 등에 구름 트이니 삼신산이 가깝고, 바람은 고래 같은 물결을 받아 올려 만 리에 아득하다’고 했다. 김조(金銚)는 시에서 ‘조수 소리는 치우쳐서 나그네를 놀라게 하는데, 신기루는 벌써 물가에 생겼네’라고 했음으로, 이는 바닷물이 움직이는 실상을 말하고 있다.
남해는 임진왜란의 격전지인 관계로 이충무공과 관련된 역사 유적지가 많다. 남해대교의 휴게소가 있는 노량에는 충렬사(忠烈祠)가 있어, 팽나무 고목과 함께 주요한 문화재가 되고 있다. 고현면의 관음포(觀音浦)에는 충무공의 전몰 유적지가 남아있고, 인접한 차면리에는 산닥나무의 자생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어, 남해대교와 상주 · 미조해수욕장은 주요한 관광자원으로 알려져 있다.
9일 밤 10시 30분 남해대교를 건넌다.
이 남해대교가 건설되기 전에는 남해는 섬이었었는데,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특사가 남해에 왔을때, 특사가 종기형 아버지께 소원이 있느냐고 묻길래, 특사한테 남해대교 건설을 청원하여서 그것이 계기가 되어 다리가 건설되었다고 한다. 좀 의아한 얘기였는데, 나중에 이유를 알게되었다.
남해대교에는 다리경관을 장식하는 별도의 조명시설이 없고 단지 가로등 뿐이다.
'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윗세오름 탐방(20150529/15-23) (0) | 2015.06.01 |
---|---|
남해 금산 국립공원(20150510/15-20/ 백57) (0) | 2015.05.11 |
송산면 수섬(140531-0601) (0) | 2014.06.02 |
제주도 비자림(130606) (0) | 2013.06.07 |
제주도 동부해안선 따라서(130606) (0) | 2013.06.07 |